Skip to content

Commit a963392

Browse files
riseshiayous
andauthored
Translate "Ruby 3.2.0 rc1/preview2/preview3 released" (ko) (#2944)
* Copy 3.2.0 preview/rc from en * Translate "Ruby 3.2.0 rc1 released" * Translate "Ruby 3.2.0 preview3 Released" * Translate "Ruby 3.2.0 preview2 Released" * Apply suggestions from code review Co-authored-by: Chayoung You <[email protected]> * %s/더이상/더 이상/ on 3.2.0 released Co-authored-by: Chayoung You <[email protected]>
1 parent f524041 commit a963392

4 files changed

+1218
-3
lines changed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329 @@
1+
---
2+
layout: news_post
3+
title: "Ruby 3.2.0 Preview 2 릴리스"
4+
author: "naruse"
5+
translator: "shia"
6+
date: 2022-09-09 00:00:00 +0000
7+
lang: ko
8+
---
9+
10+
{% assign release = site.data.releases | where: "version", "3.2.0-preview2" | first %}
11+
12+
Ruby {{ release.version }} 릴리스를 알리게 되어 기쁩니다. Ruby 3.2는 많은 기능과 성능 향상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3+
14+
15+
## WASI 기반 웹어셈블리 지원
16+
17+
WASI에 기반해 웹어셈블리를 지원하는 첫 이식판입니다. 이를 통해 CRuby 바이너리는 웹 브라우저, 서버리스 엣지 환경, 그 이외의 웹어셈블리/WASI를 사용 가능한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습니다. 현재 이 이식판은 스레드 API를 사용하지 않는 기본적인 테스트와 부트스트랩 테스트 스위트를 통과합니다.
18+
19+
![](https://i.imgur.com/opCgKy2.png)
20+
21+
### 배경
22+
23+
[웹어셈블리(Wasm)](https://webassembly.org/)는 본래 웹 브라우저에서 프로그램을 안전하고 빠르게 실행하기 위해서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그 목적 중 하나인 프로그램을 다양한 환경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실행하는 것은 웹뿐만이 아니라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도 바라던 것입니다.
24+
25+
[WASI(The WebAssembly System Interface)](https://wasi.dev/)는 이러한 용도를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운영체제와 통신해야 합니다만, 웹어셈블리는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가지지 않는 가상 머신 위에서 동작합니다. WASI는 이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합니다.
26+
27+
Ruby의 웹어셈블리/WASI 지원은 이러한 프로젝트들을 활용하기 위함입니다. 이를 통해 Ruby 개발자들이 약속한 플랫폼에서 움직이는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28+
29+
### 사용 예시
30+
31+
이는 개발자가 웹어셈블리 환경에서 CRuby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하나의 예로, [TryRuby playground](https://try.ruby-lang.org/playground/)의 CRuby 지원이 있습니다. 이제 CRuby를 웹 브라우저 상에서 직접 사용해볼 수 있습니다.
32+
33+
### 기술적인 부분
34+
35+
현재 WASI와 웹어셈블리 자체에는 Fiber, 예외 처리, GC를 구현하기 위한 일부 기능이 부족합니다. 이는 여전히 개발 중이라는 점도 있지만, 보안 때문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CRuby는 사용자 공간에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바이너리 변환 기술인 Asyncify를 사용해 그 차이를 메꿉니다.
36+
37+
나아가서 Ruby 앱을 간단하게 단일 .wasm 파일로 패키징할 수 있도록 [WASI 상에 VFS](https://github.com/kateinoigakukun/wasi-vfs/wiki/Getting-Started-with-CRuby)를 구현했습니다. 이는 Ruby 앱의 배포를 쉽게 해줄 것입니다.
38+
39+
### 관련 링크
40+
41+
* [Add WASI based WebAssembly support #5407](https://github.com/ruby/ruby/pull/5407)
42+
* [An Update on WebAssembly/WASI Support in Ruby](https://itnext.io/final-report-webassembly-wasi-support-in-ruby-4aface7d90c9)
43+
44+
## 정규표현식 타임아웃
45+
46+
정규표현식 일치 처리에 타임아웃 기능을 도입했습니다.
47+
48+
```ruby
49+
Regexp.timeout = 1.0
50+
51+
/^a*b?a*$/ =~ "a" * 50000 + "x"
52+
#=> 1초 후에 Regexp::TimeoutError 발생
53+
```
54+
55+
정규표현식 일치는 기대와는 다르게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신뢰할 수 없는 입력에 대해서 비효율적일 가능성이 있는 정규표현식을 일치시키고 있다면, 공격자는 이를 이용해 효율적으로 서비스 거부 공격(이를 정규표현식 DoS, 또는 ReDoS라고 부릅니다)이 가능합니다.
56+
57+
Ruby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에 맞는 `Regexp.timeout`을 설정해 DoS에 대한 위험을 예방하거나 상당히 완화할 수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에 직접 설정해보세요. 피드백도 환영합니다.
58+
59+
`Regexp.timeout`은 전역 설정임에 주의하세요. 일부의 특수한 정규표현식에 대해서만 다른 타임아웃 설정을 사용하고 싶다면, `Regexp.new``timeout` 키워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60+
61+
```ruby
62+
Regexp.timeout = 1.0
63+
64+
# 이 정규표현식은 타임아웃 설정이 없습니다.
65+
long_time_re = Regexp.new("^a*b?a*$", timeout: nil)
66+
67+
long_time_re =~ "a" * 50000 + "x" # never interrupted
68+
```
69+
70+
기능 제안 티켓: https://bugs.ruby-lang.org/issues/17837
71+
72+
73+
## 그 이외의 주목할 만한 새 기능
74+
75+
### 서드파티 소스 코드를 더 이상 내장하지 않음
76+
77+
* `libyaml`이나 `libffi`와 같은 서드파티의 소스 코드를 내장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78+
79+
* psych에 포함되어 있던 libyaml의 소스 코드는 삭제되었습니다. Ubuntu/Debian 환경이라면 직접 `libyaml-dev`를 설치해야합니다. 이 패키지의 이름은 각 환경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80+
81+
* `fiddle`에 포함되어 있던 libffi는 preview2에서 삭제될 예정입니다.
82+
83+
### 언어
84+
85+
* 익명 나머지 인수, 익명 나머지 키워드 인수가 파라미터로서뿐만 아니라,
86+
인수로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Feature #18351]]
87+
88+
```ruby
89+
def foo(*)
90+
bar(*)
91+
end
92+
def baz(**)
93+
quux(**)
94+
end
95+
```
96+
97+
* 1개의 위치 인수와 나머지를 키워드로 받는 프록은 인수를 자동으로 전개하지
98+
않습니다. [[Bug #18633]]
99+
100+
```ruby
101+
proc{|a, **k| a}.call([1, 2])
102+
# Ruby 3.1 and before
103+
# => 1
104+
# Ruby 3.2 and after
105+
# => [1, 2]
106+
```
107+
108+
* 상수 대입에서의 상수 평가 순서가 단일 속성 대입 시의 평가 순서와
109+
일관성을 가지게 됩니다. 다음 코드의 경우,
110+
111+
```ruby
112+
foo::BAR = baz
113+
```
114+
115+
`foo`는 이제 `baz`보다 먼저 호출됩니다. 마찬가지로 상수의 다중 대입에서도
116+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평가됩니다. 다음 코드의 경우,
117+
118+
```ruby
119+
foo1::BAR1, foo2::BAR2 = baz1, baz2
120+
```
121+
122+
아래와 같은 순서로 평가됩니다.
123+
124+
1. `foo1`
125+
2. `foo2`
126+
3. `baz1`
127+
4. `baz2`
128+
129+
[[Bug #15928]]
130+
131+
* 검색 패턴은 이제 정식 기능입니다.
132+
[[Feature #18585]]
133+
134+
* `*args`와 같은 나머지 파라미터를 받는 메서드에서 `foo(*args)`를 통해 키워드 인수를
135+
위임하고 싶은 경우, 반드시 `ruby2_keywords`를 사용해야 합니다. 다르게 말하면,
136+
`*args`를 사용해 키워드 인수를 위임하고 싶은 모든 메서드는 예외 없이
137+
`ruby2_keywords`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 변경으로 라이브러리가 Ruby 3 이상을
138+
요구하게 되었을 때 다른 위임 방식으로의 마이그레이션이 간단해집니다.
139+
지금까지 메서드가 `*args`를 넘겨받았을 때, `ruby2_keywords` 플래그가 유지되었습니다만,
140+
이는 의도치 않은 동작이었으며, 일관성이 없었습니다. 빠져있었던 `ruby2_keywords`
141+
찾아내기 위한 좋은 방법 중 한 가지로 테스트를 실행한 뒤, 실패하는 각각의 테스트에서
142+
키워드 인수를 받는 마지막 메서드를 찾고, 그곳에서 `puts nil, caller, nil`를 사용하세요.
143+
그리고 나서 호출 체인의 각 메서드/블록이 키워드를 위임할 때 `ruby2_keywords`
144+
올바르게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하세요. [[Bug #18625]] [[Bug #16466]]
145+
146+
```ruby
147+
def target(**kw)
148+
end
149+
150+
# 의도치 않게 Ruby 2.7-3.1에서 ruby2_keywords 없이 동작했습니다만,
151+
# Ruby 3.2+에서는 ruby2_keywords가 필요합니다. ruby2_keywords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152+
# #foo, #bar 양쪽에 (*args, **kwargs)나 (...)이 필요합니다.
153+
ruby2_keywords def bar(*args)
154+
target(*args)
155+
end
156+
157+
ruby2_keywords def foo(*args)
158+
bar(*args)
159+
end
160+
161+
foo(k: 1)
162+
```
163+
164+
## 성능 향상
165+
166+
### YJIT
167+
168+
* arm64, aarch64 상의 UNIX 환경을 지원합니다.
169+
* YJIT 빌드하기 위해서는 Rust 1.58.1 이상을 요구합니다. [[Feature #18481]]
170+
171+
## 3.1 이후로 주목할 만한 변경
172+
173+
* Hash
174+
* `Hash#shift`는 이제 해시가 비어있다면
175+
기본 값이나 기본 프록을 호출한 결과 값을 반환하는 대신
176+
언제나 nil을 반환합니다. [[Bug #16908]]
177+
178+
* MatchData
179+
* `MatchData#byteoffset`이 추가되었습니다. [[Feature #13110]]
180+
181+
* Module
182+
* `Module.used_refinements`가 추가되었습니다. [[Feature #14332]]
183+
* `Module#refinements`가 추가되었습니다. [[Feature #12737]]
184+
* `Module#const_added`가 추가되었습니다. [[Feature #17881]]
185+
186+
* Proc
187+
* `Proc#dup`은 서브클래스의 인스턴스를 반환합니다. [[Bug #17545]]
188+
* `Proc#parameters`는 이제 람다 키워드를 받습니다. [[Feature #15357]]
189+
190+
* Refinement
191+
* `Refinement#refined_class`가 추가되었습니다. [[Feature #12737]]
192+
193+
* Set
194+
* Set은 이제 `require "set"`할 필요 없이 사용 가능한 내장 클래스입니다. [[Feature #16989]]
195+
현재는 `Set` 상수를 사용하거나 `Enumerable#to_set`을 호출하면 자동으로 로드됩니다.
196+
197+
* String
198+
* `String#byteindex``String#byterindex`가 추가되었습니다. [[Feature #13110]]
199+
* 유니코드 버전이 14.0.0, 에모지 버전이 14.0으로 갱신되었습니다. [[Feature #18037]]
200+
(이는 정규표현식에도 적용됩니다)
201+
* `String#bytesplice`가 추가되었습니다. [[Feature #18598]]
202+
203+
* Struct
204+
* `keyword_init: true` 없이 `Struct.new`에 키워드 인수를 넘겨
205+
Struct 클래스를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Feature #16806]]
206+
207+
## 호환성 문제
208+
209+
주의: 기능 버그 수정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210+
211+
### 삭제된 상수
212+
213+
폐기 예정이었던 상수가 삭제됩니다.
214+
215+
* `Fixnum`, `Bignum` [[Feature #12005]]
216+
* `Random::DEFAULT` [[Feature #17351]]
217+
* `Struct::Group`
218+
* `Struct::Passwd`
219+
220+
### 삭제된 메서드
221+
222+
폐기 예정이었던 메서드가 삭제됩니다.
223+
224+
* `Dir.exists?` [[Feature #17391]]
225+
* `File.exists?` [[Feature #17391]]
226+
* `Kernel#=~` [[Feature #15231]]
227+
* `Kernel#taint`, `Kernel#untaint`, `Kernel#tainted?`
228+
[[Feature #16131]]
229+
* `Kernel#trust`, `Kernel#untrust`, `Kernel#untrusted?`
230+
[[Feature #16131]]
231+
232+
## Stdlib 호환성 문제
233+
234+
* `Psych`는 더 이상 `libyaml` 소스 코드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235+
이용자는 패키지 매니저를 사용해서 스스로 `libyaml`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야합니다. [[Feature #18571]]
236+
237+
## C API 변경
238+
239+
### 삭제된 C API
240+
241+
다음 폐기 예정인 API가 삭제됩니다.
242+
243+
* `rb_cData` 변수.
244+
* "taintedness""trustedness" 함수. [[Feature #16131]]
245+
246+
### 표준 라이브러리 갱신
247+
248+
* 다음 기본 gem이 갱신되었습니다.
249+
250+
* TBD
251+
252+
* 다음 내장 gem이 갱신되었습니다.
253+
254+
* TBD
255+
256+
* 다음 기본 gem은 이제 내장 gem입니다. bundler 환경에서는 `Gemfile`에 다음 라이브러리를 추가해야 합니다.
257+
258+
* TBD
259+
260+
더 자세한 내용은 [NEWS](https://github.com/ruby/ruby/blob/{{ release.tag }}/NEWS.md)나
261+
[커밋 로그](https://github.com/ruby/ruby/compare/v3_1_0...{{ release.tag }})를
262+
확인해 주세요.
263+
264+
이러한 변경사항에 따라, Ruby 3.1.0 이후로 [파일 {{ release.stats.files_changed }}개 수정, {{ release.stats.insertions }}줄 추가(+), {{ release.stats.deletions }}줄 삭제(-)](https://github.com/ruby/ruby/compare/v3_1_0...{{ release.tag }}#file_bucket)가
265+
이루어졌습니다!
266+
267+
## 다운로드
268+
269+
* <{{ release.url.gz }}>
270+
271+
SIZE: {{ release.size.gz }}
272+
SHA1: {{ release.sha1.gz }}
273+
SHA256: {{ release.sha256.gz }}
274+
SHA512: {{ release.sha512.gz }}
275+
276+
* <{{ release.url.xz }}>
277+
278+
SIZE: {{ release.size.xz }}
279+
SHA1: {{ release.sha1.xz }}
280+
SHA256: {{ release.sha256.xz }}
281+
SHA512: {{ release.sha512.xz }}
282+
283+
* <{{ release.url.zip }}>
284+
285+
SIZE: {{ release.size.zip }}
286+
SHA1: {{ release.sha1.zip }}
287+
SHA256: {{ release.sha256.zip }}
288+
SHA512: {{ release.sha512.zip }}
289+
290+
## Ruby는
291+
292+
Ruby1993년에 Matz(마츠모토 유키히로) 씨가 처음 개발했고,
293+
현재는 오픈 소스로서 개발되고 있습니다. 여러 플랫폼에서 동작하며,
294+
특히 웹 개발에서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295+
296+
297+
298+
[Feature #12005]: https://bugs.ruby-lang.org/issues/12005
299+
[Feature #12655]: https://bugs.ruby-lang.org/issues/12655
300+
[Feature #12737]: https://bugs.ruby-lang.org/issues/12737
301+
[Feature #13110]: https://bugs.ruby-lang.org/issues/13110
302+
[Feature #14332]: https://bugs.ruby-lang.org/issues/14332
303+
[Feature #15231]: https://bugs.ruby-lang.org/issues/15231
304+
[Feature #15357]: https://bugs.ruby-lang.org/issues/15357
305+
[Bug #15928]: https://bugs.ruby-lang.org/issues/15928
306+
[Feature #16131]: https://bugs.ruby-lang.org/issues/16131
307+
[Bug #16466]: https://bugs.ruby-lang.org/issues/16466
308+
[Feature #16806]: https://bugs.ruby-lang.org/issues/16806
309+
[Bug #16889]: https://bugs.ruby-lang.org/issues/16889
310+
[Bug #16908]: https://bugs.ruby-lang.org/issues/16908
311+
[Feature #16989]: https://bugs.ruby-lang.org/issues/16989
312+
[Feature #17351]: https://bugs.ruby-lang.org/issues/17351
313+
[Feature #17391]: https://bugs.ruby-lang.org/issues/17391
314+
[Bug #17545]: https://bugs.ruby-lang.org/issues/17545
315+
[Feature #17881]: https://bugs.ruby-lang.org/issues/17881
316+
[Feature #18037]: https://bugs.ruby-lang.org/issues/18037
317+
[Feature #18159]: https://bugs.ruby-lang.org/issues/18159
318+
[Feature #18351]: https://bugs.ruby-lang.org/issues/18351
319+
[Bug #18487]: https://bugs.ruby-lang.org/issues/18487
320+
[Feature #18571]: https://bugs.ruby-lang.org/issues/18571
321+
[Feature #18585]: https://bugs.ruby-lang.org/issues/18585
322+
[Feature #18598]: https://bugs.ruby-lang.org/issues/18598
323+
[Bug #18625]: https://bugs.ruby-lang.org/issues/18625
324+
[Bug #18633]: https://bugs.ruby-lang.org/issues/18633
325+
[Feature #18685]: https://bugs.ruby-lang.org/issues/18685
326+
[Bug #18782]: https://bugs.ruby-lang.org/issues/18782
327+
[Feature #18788]: https://bugs.ruby-lang.org/issues/18788
328+
[Feature #18809]: https://bugs.ruby-lang.org/issues/18809
329+
[Feature #18481]: https://bugs.ruby-lang.org/issues/18481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