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DevKor-github/morae-BE

Repository files navigation

⏳ Morae BE

🔗️ Note

이 문서는 Saerok 프로젝트의 README를 참고하여 구성하였으며, Morae의 컨벤션에 맞게 수정되었습니다.


🛠️ Stacks

  • JAVA 21
  • Spring Boot 3.5.7
  • PostgreSQL
  • JPA (Hibernate)
  • Gradle
  • GitHub Actions + AWS EC2 (CI/CD)

🧾 Commit Convention

Morae는 Conventional Commits 규칙을 기반으로 commitlint를 사용해 커밋 메시지 품질을 관리합니다.

모든 커밋은 아래와 같이 지정된 type / scope / subject 형식을 따라야 하며, 규칙을 위반하면 커밋이 거부됩니다.

<type>(<scope>): <subject>

<body>

1. type (무엇을 했는가)

타입 설명
feat 새로운 기능 추가
🐛 fix 버그 수정
📚 docs 문서 관련 변경 (예: README, 주석)
💎 style 코드 의미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스타일 변경 (포맷, 세미콜론 등)
📦 refactor 리팩토링 (기능 변경 없이 구조 개선)
🚀 perf 성능 개선
🚨 test 테스트 코드 추가/보완
⚙️ ci CI 설정 및 관련 스크립트 변경
♻️ chore 기타 작업 (예: 패키지 설치, 설정 파일 변경, 디렉토리 정리 등)
🗑 revert 이전 커밋 되돌리기

2. scope (어디를 바꿨는가)

Scope 설명
🔐 auth 인증/인가 도메인
🙋‍♂️ user 사용자 도메인
🤖 ai AI 처리
👥 friend 친구 도메인
📧 notify 알림/이메일 전송
🛠️ infra 설정/인프라
🗄️ db 데이터베이스 및 마이그레이션
🌎 global 공용 설정 및 전역 리소스

3. subject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 변경된 내용을 한 줄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 한국어로 자연스럽게 작성하며, 읽는 사람이 바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 문장 끝에는 마침표(.)를 붙이지 않습니다.

예: 회원 탈퇴 기능 추가, 토큰 재발급 로직 수정, 빌드 스크립트 구조 개선


4. body (왜 그렇게 했는가)

  • 선택 항목이지만, 기능 수정이나 리팩토링 등 맥락이 필요한 변경이라면 작성합니다.
  • “무엇을 바꿨고, 왜 바꿨는지”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예: 사용자 조회 시 불필요한 쿼리가 반복 실행되어 응답 속도가 저하되었습니다. 쿼리 캐싱을 적용하여 데이터 접근 횟수를 줄이고 성능을 개선했습니다.


설치 및 사용법

  • 터미널에서 npm install을 실행하여 commitlint를 설치합니다.
  • 커밋 시 터미널에서 npm run commit 입력을 통해 커밋합니다.

About

No description, website, or topics provided.

Resources

Stars

Watchers

Forks

Releases

No releases published

Packages

No packages pu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