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2023-06-26
~ Fin 2023-07-25
🥳
주 3일(월, 수, 금), 오후 9시 알고리즘 스터디 종료 후
- 주어진 질문에 대해 학습 후 2줄 분량으로 간략하게 답변 작성
- 꼬꼬무 질문에 대한 답변 작성
- 오후 9시 알고리즘 스터디 종료 후 각자 작성한 답변 발표
[자료구조]
* Day 01. Array vs LinkedList
* Day 02. Queue vs Stack
* Day 03. Hash table vs BST
[운영체제]
* Day 04. process & Thread
* Day 05. Memory
[데이터베이스]
* Day 06. DB 구조 & 설계
* Day 07. Transaction
* Day 08. Index
[네트워크]
* Day 09. TCP/IP
* Day 10. HTTP
* Day 11. Authorization
- 해당 일에 주어진 질문들의 답변을 작성 후
solve
로 링크 연결 (md 파일형식으로 올릴 시 파일 형식 : Day01/이름.md)
📂 Day 01 ~ 02
📂 Day 03 ~ 11
Date | Day | Subject | 이주희 | 강승우 | 진행 여부 |
---|---|---|---|---|---|
23/06/28 | Day 03 | Hash table & BST | solve | solve | ✅ |
23/07/04 | Day 04 | process & Thread | solve | solve | ✅ |
23/07/06 | Day 05 | Memory | solve | solve | ✅ |
23/07/11 | Day 06 | DB 구조 & 설계 | solve | solve | ✅ |
23/07/14 | Day 07 | Transaction | solve | solve | ✅ |
23/07/17 | Day 08 | Index | solve | solve | ✅ |
23/07/19 | Day 09 | TCP/IP | solve | solve | ✅ |
23/07/21 | Day 10 | HTTP | solve | solve | ✅ |
23/07/24 | Day 11 | Authorization | solve | solve | ✅ |
질문 |
---|
Array는 어떤 자료구조 인가요? |
[꼬꼬무1] 미리 예상한 것보다 더 많은 수의 data를 저장하느라 Array의 size를 넘어서게 됐습니다. 이때,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
Dynamic Array는 어떤 자료구조 인가요? |
[꼬꼬무1] Dynamic Array를 Linked List와 비교하여 장단점을 설명해주세요. |
Linked List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
[꼬꼬무1] 어느 상황에 Linked List를 쓰는게 Array보다 더 나을까요? |
[꼬꼬무2] 어느 상황에 Array를 쓰는게 Linked List보다 더 나을까요? |
[꼬꼬무3] Array와 LinkedList의 Memory allocation은 언제 일어나며, 메모리의 어느 영역을 할당 받나요? |
Array vs Linked List를 비교해서 설명해주세요. ⭐ |
질문 |
---|
Queue는 어떤 자료구조인가요? |
[꼬꼬무1] Array-Base와 List-Base의 경우 어떤 차이가 있나요? |
Stack은 어떤 자료구조인가요? |
Stack 두 개를 이용하여 Queue를 구현해 보세요 |
[꼬꼬무1] 시간복잡도는 어떻게 되는지 설명해 주세요 |
Queue 두 개를 이용하여 Stack를 구현해 보세요 |
[꼬꼬무1] 시간복잡도는 어떻게 되는지 설명해 주세요 |
Queue vs Priority Queue를 비교하여 설명해 주세요 ⭐ |
질문 |
---|
BST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 |
[꼬꼬무1] 이진트리(Binary tree)는 어떤 자료구조인가요? |
[꼬꼬무2] BST의 worst case 시간복잡도는 O(n)입니다. 어떠한 경우에 worst case가 발생하나요? |
[꼬꼬무3] 해결방법은 무엇인가요? |
Hash table은 어떤 자료구조인가요? ⭐⭐ |
[꼬꼬무1] 좋은 hash function의 조건은 뭘까요? |
Hash table에서 collision이 발생하면 어떻게 되나요? 해결방법엔 뭐가 있을까요? ⭐⭐⭐⭐ |
[꼬꼬무1] worst case의 시간복잡도는 O(n)이라고 했는데 어떤 상황인가요? |
[꼬꼬무2] 이중 해싱(double hashing)이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
질문 |
---|
Process를 간단히 설명해 주세요 |
[꼬꼬무1] process의 memory영역(code, data, stack, heap)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
Multi process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 |
[꼬꼬무1] process의 context는 무엇인가요? |
[꼬꼬무2] PCB(Process Control Block)에 저장되는 것들은 무엇이 있나요? |
[꼬꼬무3] Context switch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
[꼬꼬무4] process의 state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
Multi thread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 |
[꼬꼬무1] thread는 왜 독립적인 stack memory 영역이 필요한가요? |
[꼬꼬무2] process와 thread를 비교설명 해주세요 |
Multi process와 Multi thread를 비교설명해 주세요 ⭐⭐ |
[꼬꼬무1] multi thread가 multi process보다 좋은 점은 무엇인가요? |
multi process 환경에서 process간에 데이터를 어떻게 주고 받을 까요? ⭐⭐ |
[꼬꼬무1] IPC의 예시를 들어주실 수 있나요? |
[꼬꼬무2] 공유 메모리와 메시지 전달 모델의 장단점을 설명해 주세요 |
Multi process/thread 환경에서 동기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나요? ⭐ |
[꼬꼬무1] mutex와 semaphore 기법을 비교 설명해 주세요 |
교착상태(Deadlock)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해 주세요 |
[꼬꼬무1] deadlock은 언제 발생하게 되나요? |
질문 |
---|
paging이란 뭔가요? |
segmentation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
[꼬꼬무1] segmentation의 메모리 단편화(Memory fragmentation) 문제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
[꼬꼬무2] paging과 segmentation의 차이는 뭔가요? |
[꼬꼬무3] paged segmentation의 기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
가상 메모리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 |
[꼬꼬무1] 요구페이징 (demand paging)이란 무엇인가요? ? |
[꼬꼬무2]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replacement algorithm)을 아는대로 말씀해주세요 |
[꼬꼬무3] LRU알고리즘과 LFU알고리즘을 비교 설명해 주세요 |
질문 |
---|
primary key가 무엇인지 설명해 주세요 |
[꼬꼬무1] primary key와 foreign key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
[꼬꼬무2] candidate key에 대해 설명하시오 |
[꼬꼬무3] alternate key에 대해 설명하시오 |
[꼬꼬무4] composite key에 대해 설명하시오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N:M 관계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
[꼬꼬무1] 1:N 관계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
left outer join, inner join 차이를 설명해 주세요 |
RDB - NoSQL를 비교 설명해 주세요 ⭐ |
[꼬꼬무1] Nosql은 언제 사용하면 좋을까요? |
[꼬꼬무2] RDB는 언제 사용하면 좋을까요? |
질문 |
---|
Transaction을 간단히 설명해 주세요 ⭐⭐ |
[꼬꼬무1] commit과 rollback에 대해 설명해보세요 |
[꼬꼬무2] 원자성(일관성, 고립성, 지속성)이 뭔가요? |
Deadlock이란 무엇인지 설명해 주세요 ⭐ |
[꼬꼬무1] deadlock을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질문 |
---|
Index가 왜 필요한가요? |
[꼬꼬무1] select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뭐가 있을까요? |
[꼬꼬무2] index의 내부동작은 어떻게 동작하나요? |
[꼬꼬무3] index를 많이 생성하면 안되나요? |
index를 어느 column에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 |
[꼬꼬무1] index를 쓰면 성능이 좋아지니까 모든 컬럼에 인덱스를 사용하면 성능이 더 좋겠네요? |
[꼬꼬무2] 우리 회사의 고객 DB에서 성별 column에 index를 걸어주는게 좋을까요? |
[꼬꼬무3] true 또는 false 값을 갖는 column에서, true 1%, false 99%의 비율로 구성된 상황에서는 index를 거는게 좋을까요? |
데이터를 검색을 할 때 hash table의 시간복잡도는 O(1)이고 b+tree는 O(logn)으로 더 느린데 왜 index는 hash table이 아니라 b+tree로 구현되나요? ⭐ |
질문 |
---|
OSI 7계층과 TCP/IP 4계층을 비교하여 설명해 주세요 |
TCP vs UDP를 비교해서 설명해 주세요 ⭐ |
3-way handshake는 무엇이고 각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
질문 |
---|
HTTP가 뭔지 설명해 주세요 |
HTTP request method 중 GET vs POST를 비교 설명해 주세요 ⭐⭐ |
[꼬꼬무1] HTTP request method 중 put vs patch를 비교 설명해 주세요 |
HTTP Status code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
www.google.com을 주소창에 쳤을 때 화면이 나오기까지의 과정을 네트워크 관점으로 설명해 주세요 ⭐⭐ |
질문 |
---|
쿠키와 세션의 차이점을 설명해 주세요 ⭐ |
[꼬꼬무1] 세션이 보안도 좋은데 쿠키를 사용하는 이유는 뭔가요? |
[꼬꼬무2] 쿠키의 사용 예를 아는대로 말씀해 주세요 |
쿠키와 세션을 이용한 로그인 방식을 화이트보드에 설명해 주세요 |
|
|
|
이주희 (Back-End) |
강승우 (Back-End) |
최태승 (Back-E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