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주차 팀 회고

Yujin edited this page Nov 10, 2024 · 4 revisions

본 문서는 프로젝트 회고 피그젬에서 나눈 내용을 회의록 형태로 정리한 것입니다.

이번 주는 KPT 회고를 채택해보기로!

목차

✅ Keep (현재 만족하며 계속 이어갔으면 좋은 부분)

J061_김주호

  • 50분 진행, 10분 휴식
    첫날 이상하게 컨디션이 좋아서 막 달렸네요.. 두번째날 쉬는시간 너무 행복했습니다
  • 각자 이야기 나누며 맞춰가는 점!
    의견 존중 + 부가적인 아이디어를 통한 기획 구체화 좋았습니다!
  • 줌에서 서로 얼굴 보며 대화하는 점!
    서로 피곤함이 너무 잘 보여서(ㅋㅋㅋ..) 좋은 것 같아요
  • 각자 말하지 않아도 준비해 주시는 점!
    다음날 보면 빵-끗 합니다
  • 각자 컨디션 확인하며 시작하는 점!
    예전엔 컨디션 안좋은 이유 말하기도 힘들고 그랬는데, 이번엔 한번씩 언급을 하게 되니 좋더라구용
  • 그라운드 룰 추상화 - 구체화 과정!
    처음부터 빡쎄게 정하지 않고 하나씩 맞춰나가는 게 좋습니당!
  • 피그젬 - 피그마 거치며 함께 이해도를 끌어올린 과정!
    모두 의도를 파악해 주신 것 같아 기쁩니당

J145_신유진

  • 쉬는 시간이 정해져 있어서 좋았습니다(가끔씩 길게 쉬는시간 주어질때 너무 행복했어요)
  • 의문점을 바로 물어보는 그라운드룰
  • 종료 스크럼
    기존 스크럼과 역할이 어느정도 비슷하면서도 하루 활동이 끝나는 시점으로 앞당기니까 생각할거리도 많고 앞으로의 윤곽이 더 잘 보였던 것 같아요
  • 코어한 부분(에픽-스토리-태스크 나누기 등등)은 함께 정한 것
    기능이나 지향점?에 대해 팀원들이 같은 이해도를 가진 것 같아 좋았습니다

J193_이종민

  • 종료 스크럼으로 오늘 계획한 일들이 잘 되고 있는지 확인 잘 안되고 있으면 어떤식으로 할지 얘기하는점
  • 코어타임내에서 진행하는거, 50분 회의 10분 휴식 정한 점
  • 전반적인 작업(디자인,task 나누기 등)을 다 같이하여서 그룹원 전체의 프로젝트의 흐름이나 이해도가 같은 점

J244_조윤희

  • 적극적으로 의견 공유하기
  • 고민사항 나누기
  • 팀원 한명한명의 의견 존중하기
  • 휴식시간 가지기
  • 근거있는 의견
  • 피그잼으로 메모하면서 고민사항 나누기

J271_한민수

  • 회의 시간만큼 쉬는시간도 철저히 지키는 우리팀!
  • 종료 스크럼 회의 처음 해봤는데 되게 좋은 것 같아요. 디자인 회의한 날 아쉬웠던 부분을 바탕으로 다음날엔 어떤 일을 할지 미리 계획할 수 있었던 것처럼요
  • 각자의 의견을 경청하고 존중하는 분위기를 느꼈습니다
  • 어제 멘토링 받기 전에 문서로 진행상황을 잘 정리해서 보여드렸다고 생각됩니다. 덕분에 피드백도 많이 받고 궁금한 점도 해소할 수 있었어요

🔍 Problem (불편하게 느낀 부분, 개선이 필요한 부분)

J061_김주호

  • 리액션.. 많이 해주세용.. 저 리액션 먹고 사는 사람입니다 ㅠㅠㅠ
  • 대화 많이 나누고 싶어요! ‘친해지길' 프로젝트가 나온 이유처럼.. 여러분과 많이 친해지고 싶습니다! 제가 처음에 너무 ‘가즈아!!’를 외쳐서 그런지 ‘동료'보다는 ‘코워커' 느낌인 게 아쉽습니다 ㅠㅠ
  • 아직 많은 것들이 미정되어 있는 것 같은데.. 현실적으로 어쩔 수 없던 부분었다고 생각돼요. 그라운드 룰처럼 ‘가시적인 것에 집중하지 말고 긍정적 마인드!’(제 자신에게 하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 50분 진행, 10분 휴식 말고도 이야기 나누는 시간(프로젝트적인 것 말고 아무 이야기나)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서로 진짜 공감대 말할 수 있으면 좋겠네요!
  • ‘우리에게 진짜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여러분의 진짜 목표를 들어보지 못한 것 같아요. 취업용 포트폴리오가 될 수도 있고, 실제 서비스를 운영해보고 싶은 분도 계실 거고, 어쩌면 단순 경험을 위한 분도 계실 것 같아요. 다 내려놓고 이야기 나눠보면 어떨까요?
  • ESLint 기준이 없어서, 다음주 개발 스타트가 조금은 힘들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임시로 하나 적용해두고, 맞춰가야 할까요?
  • 위 내용처럼, 저희가 초반에 정해야 할 것들을 이것저것 건너뛴 것 같아요.. 이 부분이 굉장히 아쉽네요.

J145_신유진

  • 문서화? 줌에서 말로 논의됐던 내용들이 (물론 피그잼, 피그마에 어느정도 남아있지만) 휘발된 게 많은 것 같아 아쉽습니다
  • 개인적으로 ‘다할수있조’ 만의 문서라는 게 한 눈에 보이는 문서면 더 좋을것같아요
  • 첫째주는 디자인에 시간을 많이 쏟았는데, 더 핵심적인 목표가 있었던 것 같아 아쉬웠던 것 같아요. 해당 주의 핵심 목표에 더 집중했다면 좋았을 것 같습니다

J193_이종민

  • 목요일 처럼 작업을 할때 시간을 정해두고 하면 시간 관리 하는데에서 더 좋을 것같습니다.
  • 이건 제 스스로 부족한점인데 중간에 집중을 잘 못하는거 같아서 집중하는게 좀더 필요할 것 같습니다.

J244_조윤희

  • 불편하게 느낀 부분은 아니지만 앞으로 프로젝트 진행하면서 변수가 많이 생길수도있고, 계획이 흐트러질수도 있는 것에 대해 미리 걱정하지 말기
  • 한가지 고민을 너무 오래하지 말기

J271_한민수

  • INFJ이지만 E 30%인 사람으로서 가끔 (제 기준) 유우머나 위트있는 말을 하려고 노력합니다. 근데 많이들 힘드신 탓인지 아무도 안 웃으시면 F 슬퍼요... ㅋㅋㅋ
  • 아래는 피어세션과 기획공유 시간에 객관적으로 다른 팀과 우리 팀을 비교했을 때 느낀 점입니다
    • 디자인은 다른 팀들도 아마추어 레벨이었습니다. 우리 기획이 예뻐보일정도로
    • 기획, 설계, 디자인, 컨벤션, 개발환경 설정까지 모두 완료된 팀은 거의 못봤습니다.
    • 다만 이번 주에 회의하며 기록했던 문서들이 다른 팀에 비해 정리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이건 이번주에 안 되었다고 느껴서 적는 건 아니에요. 다만 앞으로 기술적인 조사 같은 것들이 필요해보이면 ‘언제까지 각자 공부해봅시다’처럼 애매하게 약속하는 것보다 ‘언제까지 공부하고 각자 내용을 문서로 정리해옵시다’ 처럼 구체적이고 어느 정도 책임감이 부여되도록 약속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 Try (Problem에 대한 해결책, 다음 회고 때 판별 가능한 것)

J061_김주호

  • 친밀도를 높이기 위해 다 내려놓고 이런저런 이야기 할 수 있는 시간을 한 번은 가지기!(개인적인 희망, 모든 분들의 이야기를 한 번씩은 듣고 싶어요. 1~2시간 투자해서 앞으로의 병목을 줄이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진행병 줄이기! 어색함 타파하기 위해서 이런저런 말 하는 타입인데.. 오히려 저 때문에 더 어색해진 느낌이에요 ㅠㅠㅠㅠㅠ
  • 주말 슬랙 활성화!

J145_신유진

  • 그 주의 핵심 목표를 다같이 정해두고 한 주를 시작하면 좋겠습니다
  • 데일리스크럼에서 컨디션 적을때 주호님처럼 별로하기? 소소하게 재밌지않을까요...
  • 게더타운은 다같이 모여서 테트리스도 즐길수 있다고 하더라고요! 굳이 게더타운이 아니더라도 약간 그런 소소한 즐거움이나 재미?를 공유하거나 챙겨가면 좋지 않을까 싶어요 (게더타운으로 옮기자는 얘기는 아닙니다,,)

J193_이종민

  • 오늘의 소소한 TMI? 같은 거 공유해도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 작업들의 우선순위 정하기

J244_조윤희

  • 서로서로 의견 공유할때 정리해주기 -> 문서화
  • 오늘의 기분 TMI 얘기

J271_한민수

  • 친해지기 위해서
    • 바쁜 와중에도 ‘일상'은 있겠죠? 사소한 것도 좋으니 slack에 공유해보는 건 어떨까요? 재미있는 유튜브 영상도 좋고 운동을 했으면 인증을 한다던가...
  • 개발 외적으로 팀원 각자가 맡을만한 역할(wiki를 관리해줄 사람, 회의록을 관리해줄 사람 등등)이 있을지 고민해 볼까? 라는 생각을 피어세션때 나눴는데, 이지님이 직접 조언을 주셔서 공유합니다
    image
  • 개인적으로 공부하면서 참고한 레퍼런스 같은 것도 슬랙에서 자주 공유하는 문화를 만들면 좋을 것 같습니다

팀 소개

프로젝트 규칙

데일리 스크럼

개발 위키

회의록

팀 회고

멘토링 일지


Clone this wiki lo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