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3주차 팀 회고

Minsu Han edited this page Nov 15, 2024 · 1 revision

본 문서는 프로젝트 회고 피그젬에서 나눈 내용을 회의록 형태로 정리한 것입니다.

이번 주는 KPT 회고를 기반으로 진행하되, slack과 스프린트 회의에서 얘기 나눴던 대로 작성 시간을 짧게, 이야기하는 시간을 길게 가져가기로 했습니다!

목차

✅ Keep (현재 만족하며 계속 이어갔으면 좋은 부분)

J061_김주호

  • 게더타운에서 필요할 때마다 찾아뵙고 이야기할 수 있던 것!
  • 각자 본인만의 고민이 있다는 것!

J145_신유진

  • 게더타운으로 바꾼거 좋습니다 소소한 재미가 있어요
  • 이어폰만 끼고있으면 얘기 나눌 거 있을 때 바로 소통 가능한 점도 좋은 것 같아요
  • 데일리스크럼이나 회고 등 팀적인 사이클이 자리가 잘 잡힌 것 같아서 좋아요

J193_이종민

  • 게더타운을 활용해서 회의나 질문을 할때 바로바로 찾아가서 할 수 있는게 좋은 것 같습니다.
  • 간간이 분수소리 asmr도 좋아요

J244_조윤희

  • 게더타운 좋아요

J271_한민수

  • 지난주보다 개인 기술문서들을 많이 작성해주시고 계시더라구요. 문서화가 한층 좋아진 것 같습니다

🔍 Problem (불편하게 느낀 부분, 개선이 필요한 부분)

J061_김주호

  • 게더타운과 코어타임의 일치화가 된다면 좋겠어요
  • 그라운드 룰을 비롯한 문서화가 더 단단히 정해져야 할 것 같아요.
  • 매끄러운 소통을 나눌 수 있으면 좋겠어요. ‘같이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는 느낌보다는 ‘각자 할 일 한다'의 경향으로 비춰지는 것 같아요.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요?

J145_신유진

  • 분리된 task끼리 겹치는 부분이 클 때 어떤식으로 작업할지 정해져있지 않다는 점
  • 팀원 모두가 이번주 팀목표나 프로젝트 진행상황, 핵심 feature의 원리나 고민에 대해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가 => 매주마다 점검하는 시간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 FE에서 자잘한 버그가 몇몇개 있는데 효과적으로 테스트할 방법이 없다

J193_이종민

  • 제가 맡은 task 에 타임라인을 관리를 잘 못하는 것 같아서 시간이 애매한 경우가 좀 있었던 갓 같습니다. 프로젝트 진행하면서 타임라인 부분에 대해 적절하게 분배해야할 것 같습니다.

J244_조윤희

  • task분배의 범위를 쫌 더 크게 가져가도 될것같다.
  • 백엔드 소켓 명세에서 미구현된 부분이 있으면 표시를 해두거나 바로알려주면 좋겠다.

J271_한민수

  • 깃헙 프로젝트에 Estimate 말고 태스크 완료 후에 time taken도 채워주시면 태스크 분배 회고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각자 파트를 맡아서 작업하고 그것이 합쳐지는 식으로 진행되다 보니 큰 틀에서의 구조에 대한 고민을 소홀히 하게 된 것 같습니다

🚀 Try (Problem에 대한 해결책, 다음 회고 때 판별 가능한 것)

J061_김주호

  • 게더타운 === 코어타임! 물론 잘 지켜주시고 계시지만.. 이슈가 있어서 게더타운을 아예 나가야 하는 경우에는 슬랙에 사유를 남겨주셨으면 좋겠어요!
  • 그라운드 룰에 ‘우리가 어떤 것을 룰로 정했고, 왜 그렇게 정했었는가?’ 같은 본질적인 내용이 채워져야 할 것 같아요.
  • api 문서도 마찬가지라고 생각되네요. 말로만 할 게 아니라 ‘임시 방편'이라는 걸 잘 설명해뒀다면 팀원들의 시간을 아꼈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 다른 팀을 보니 일주일에 한번 FE, BE가 모두 모여 작업 내용을 이야기하는 시간이 있더라구요! 저희도 도입해보는 건 어떨까요? 구 FE의 입장에서, ‘BE는 뭐 하길래 이렇게 API를 안만들어와?’라는 게 있었는데.. BE로 오니까 왜 그랬었는지 확 체감되더라구요 ㅠㅠ.. 최대한 그러지 않도록 노력했는데도, 아직 부족한 점이 있는 것 같아요. 이런 부분으로도 서로 짧게나마 이야기를 나누면, 서로가 서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요?

J145_신유진

  • 스프린트 회의에서 이번주의 팀목표에 대해 더 명확히 이야기하고 정리하기
  • 각자 따로 정리하는 것보단 다함께 핵심 목표 위주로 정하고, 세부적인건 밑에 덧붙여서 핵심 목표를 추릴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FE에 테스트 도입 고려해보기 => vite로 테스트 혹은 스토리북?

J193_이종민

  • 목요일의 종료스크럼은 6시로 고정? 다음날 데모 발표를 위해서 저희끼리 정하기도하고, 진행상황, 트러블 슈팅 관련해서 공유를 하고있으니까. 누가 공지를 안해도 목요일은 6시로 종료스크럼을 진행하고 이후에 발표관련 얘기를 하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단체 피드백이 있을때 전날에 모여서 하는것도 비슷하게 하면 되지 않을까 싶어요
  • 언제한번 팀회고나 다른시간에 게더타운 게임 한판?

J244_조윤희

J271_한민수

  • 일주일에 한 번 정도 시간을 내서 전체 코드를 살펴보면서 리팩토링이나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논의해보는 건 어떨지

📚 정리

Important

🔹 목요일 오후 5시 ~ 7시 (발표 관련 준비, 전체적인 코드 리뷰, 오후 스크럼) 🔹 API 문서 더 상세히! 🔹 그라운드 룰을 재정비해보자 - 이유도 확고히 적자 (다음주 월요일 오전에) 🔹 FE: 테스트 도입 논의 🔹 게더타운 status(busy 등)로 본인 상태 알리기! 만약 들어올 수 없는 환경이라면 슬랙에 이유 남기기! 🔹 task 끝나면 time taken 작성하기!

팀 소개

프로젝트 규칙

데일리 스크럼

개발 위키

회의록

팀 회고

멘토링 일지


Clone this wiki locally